맨위로가기

감마 에스니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마 에스니키는 그리스의 축구 리그로, 1965년 아마추어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리그 명칭과 운영 방식이 변경되었다. 1983년 프로 리그로 전환되었으며, 2010년 풋볼 리그 2로, 2019년에는 4부 리그로 변경되었다가 2021년 다시 3부 리그가 되었다. 2023년부터는 4개 그룹으로 진행되며, 각 그룹의 상위 팀은 수페르리가 2로 승격되고 하위 팀은 지역 선수권 대회로 강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프로 스포츠 리그 - 그리스 농구 리그
  • 그리스의 프로 스포츠 리그 - 수페르리가 엘라다
    수페르리가 엘라다는 1927-28 시즌 범그리스 선수권 대회를 전신으로 2006년 공식 출범한 그리스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2019-20 시즌부터 14개 팀으로 운영되며 올림피아코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그리스의 축구 - 그리스 축구 연맹
    그리스 축구 연맹은 1926년 설립되어 FIFA와 UEFA의 회원국으로서 그리스 축구의 이익을 대변하며, 국내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을 포함한 다양한 축구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단체이다.
  • 그리스의 축구 - 그리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꾸준히 활동하고 있지만, FIFA 여자 월드컵과 UEFA 여자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기록은 없고, 2004 아테네 올림픽에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으며, UEFA 여자 네이션스 리그 2023-24 시즌 B리그에서 강등, 알가르브컵에서 2003년 8위를 기록했다.
  • 그리스 축구에 관한 - 코스타스 카추라니스
    코스타스 카추라니스는 그리스의 전 축구 선수로, AEK 아테네 데뷔 후 여러 유럽 클럽, 인도 슈퍼리그, 호주 NPL에서 활약하며 2004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멤버이자 그리스 국가대표팀 100경기 이상 출전 기록을 세웠고, 은퇴 후 축구 해설가 및 분석가로 활동 중이다.
  • 그리스 축구에 관한 - 판트라키코스 FC
    판트라키코스 FC는 1963년 그리스 코모티니에서 창단되어 한때 수페르리가 엘라다에 참가하기도 했던 축구 클럽으로, 현재 감마 에트니키에서 코모티니 시립 체육 센터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활동하고 있다.
감마 에스니키
리그 정보
명칭감마 에스니키
로마자 표기Gamma Ethniki Erasitechnikī Katīgoria
대륙UEFA
설립 연도1965년
리그 등급3 (1965–2019 & 2021–현재)
4 (2019–2021)
참가 팀 수69
상위 리그수페르리가 2
하위 리그헬레닉 지역 챔피언십
국내 컵감마 에스니키 컵
최다 우승알려진 정보 없음
최근 우승카발라 (1조)
에트니코스 네우 케라미디우 (2조)
파나르야코스 (3조)
파니오니오스 (4조)
(2023-24)
웹사이트알려진 정보 없음
현재 시즌2024–25 감마 에스니키
기타 정보
이전 명칭C 내셔널 아마추어 디비전 (1965–1982)
감마 에스니키 (1982–2010)
풋볼 리그 2 (2010–2013)
최다 득점자요르요스 키우르코스 (154골)

2. 역사

감마 에스니키는 1965년 아마추어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1983년에 프로 리그로 전환되었다. 2010년에는 풋볼 리그 2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13년에 다시 감마 에스니키로 환원되었다.

2013-14 시즌부터 4부 리그와 통합되어 3부 리그로 재편되었고, 구단들은 연고지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2019년 수페르리가 2 신설로 4부 리그로 변경되었다가, 2021년 풋볼 리그 폐지로 다시 3부 리그가 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65년 ~ 1983년)

1965년, '''아마추어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당시에는 아마추어 팀들이 여러 개가 우승해서 2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1983년에는 프로 리그로 변경되었고 북부 지부와 남부 지부로 나뉘어 '''감마 에스니키'''라는 리그명으로 2개 디비전의 우승 팀을 승격시켰다.

2. 2. 프로 리그 전환 및 리그명 변경 (1983년 ~ 2013년)

1965년, '''아마추어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당시에는 아마추어 팀들이 여러 개가 우승해서 2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1983년에는 프로 리그로 변경되었고 북부 지부와 남부 지부로 나뉘어 '''감마 에스니키'''라는 리그명으로 2개 디비전의 우승 팀을 승격시켰다.

2010년 8월 3일, 2부 리그인 풋볼 리그와 동시에 기존의 리그명이었던 '''감마 에스니키'''에서 리그명을 '''풋볼 리그 2'''로 변경하였다.[1] 2013-14시즌부터 2012-13 시즌까지 있었던 4부 리그와 합병되면서 3번째 디비전이 생겨났고, 3번째 디비전은 구단들이 위치해 있는 연고지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다시 아마추어로 변경되었다.[2][3][4]

2. 3. 리그 운영 방식 변화 (2014년 ~ 현재)

2014-15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 감마 에스니키는 구단 연고지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경기를 진행했다. 각 그룹의 1위 팀은 풋볼 리그로 승격되었다.[4]

2017-18 시즌부터 2022-23 시즌까지 리그는 8개 그룹으로 진행되며, 클럽은 지리적 기준에 따라 나뉜다. 각 그룹의 1위 팀은 2개 그룹으로 구성된 플레이오프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각 그룹의 상위 2개 팀은 수페르리그 2로 승격된다.[5]

2019년에 수페르리가 2 리그가 신설되면서 리그 등급이 기존의 3부 리그에서 4부 리그로 변경되었다.

2021년에는 풋볼 리그가 폐지되면서 다시 3부 리그로 바뀌었다.

3. 역대 우승팀

감마 에스니키는 1982-83 시즌부터 2018-19 시즌까지 여러 차례 리그 형식에 변화를 겪었다. 1982-83 시즌과 1988-89 시즌에는 단일 리그로 운영되었고, 에데사이코스가 우승했다. 1983-84 시즌부터 2012-13 시즌까지는 남부와 북부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2013-14 시즌부터는 여러 개의 조로 나뉘어 리그가 진행되었다.

2013-14 시즌에는 6개 조, 2014-15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는 4개 조, 2017-18 시즌과 2018-19 시즌에는 8개 조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2017-18 시즌에는 이라클리스, 볼로스, 아이티토스 스파타, 이로도토스가 2부 리그인 풋볼 리그로 승격되었다.[1]

3. 1. 3부 리그 챔피언 (1965년 ~ 2019년)

1982-83 시즌부터 2018-19 시즌까지 감마 에스니키는 여러 차례 리그 형식에 변화를 겪었다. 1982-83 시즌과 1988-89 시즌에는 단일 리그로 운영되었고, 에데사이코스가 우승했다. 1983-84 시즌부터 2012-13 시즌까지는 남부와 북부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2013-14 시즌부터는 여러 개의 조로 나뉘어 리그가 진행되었다.

2013-14 시즌에는 6개 조, 2014-15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는 4개 조, 2017-18 시즌과 2018-19 시즌에는 8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하위 섹션에서 1982년 ~ 2013년, 2013년 ~ 2019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해당 기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2017-18 시즌에는 이라클리스, 볼로스, 아이티토스 스파타, 이로도토스가 2부 리그인 풋볼 리그로 승격되었다.[1]

3. 1. 1. 1965년 ~ 1982년

시즌우승팀
1965–66레바디아코스, 에르고텔리스, 에트니코스 알렉산드루폴리, 메가스 알렉산드로스 테살로니키
1966–67아스테라스 조그라포우, AEK 팔리로, 테르마이코스, 엘피다 드라마
1967–68아르고나프티스 피레아스, 메가스 알렉산드로스 테살로니키
1968–69아나겐니시 아르타, 아나겐니시 카르디차
1969–70판드라마이코스, 아폴론 크라 브리시, A.O. 카르디차, 파나스프로피르기아코스, 아차르나이코스, 에르고텔리스, 파나르기아코스, 피니카스 폴리치니, 아리스 아기오스 콘스탄티노스
1970–71오레스티스 오레스티아다, 나우사, 오르코메노스, P.A.O. 루프, 오르페아스 에갈레오, 파닐리아코스
1971–72아나겐니시 에파노미, P.O. 무다니아, 티바, 일리시아코스, 포보스 크레마스티, 판네메아티코스
1972–73네스토스 크리수폴리, 니키 폴리기로스, 아킬레아스 파르살라, 라미아, 파네톨리코스, 파나르카디코스, 시로스, 올림피아코스 리오시아, 아폴론 미틸리니
1973–74에트니코스 시디로카스트로, A.O. 코자니, 마케도니코스, 디미트라 트리칼라, A.P.S. 파트라, 독사 비로나스, 모스차토, 디아고라스
1974–75아크리테스 시키에스, 캄파니아코스, 리가스 페라이오스, 에트니코스 아스테라스, 아기오스 디미트리오스, 암피알리, 오르페아스 에갈레오
1975–76킬키시아코스, 아폴론 칼라마리아, 에트니코스 시디로카스트로, 아나겐니시 아르타, 니키 볼로스, 파닐리아코스, 칼리테아, 이로도토스
1976–77마케도니코스, 에데사이코스, 티엘라 세레스, 엘라소나, 칼키다, A.E. 메솔롱기, 아기오스 디미트리오스, 이오니코스
1977–78아나겐니시 아르타, 아차르나이코스, 아나겐니시 야니차, 마케도니코스 시아티스타
1978–79에오르다이코스, 파네기알리오스, 비자스 메가라, 판트라키코스
1979–80피에리코스, 칼키다, 아폴론 칼라마리아, 디아고라스
1980–81톡시티스 볼로스, 아차이키, 아트로미토스 피레아스, 코자니
1981–82파닐리아코스, 티바, 플로리나, 알렉산드루폴리, 이오니코스, 아이올리코스, 레바디아코스, APE 랑가다스


3. 1. 2. 1982년 ~ 2013년

시즌우승팀
남부 그룹북부 그룹
1982–83에데사이코스
1983–84아이올리코스알모포스 아리데아
1984–85파네톨리코스킬키시아코스
1985–86차라브기아코스SKODA 크산티
1986–87칼키다에데사이코스
1987–88아트로미토스마케도니코스
1988–89에데사이코스
1989–90프로오데프티키아나겐니시 지아니차
1990–91독사 비로나스나우사
1991–92파네톨리코스폰티오이 베리아
1992–93칼리테아아나겐니시 카르디차
1993–94파닐리아코스판세르라이코스
1994–95독사 비로나스카스토리아
1995–96파네톨리코스니키 볼로스
1996–97에트니코스 아스테라스아나겐니시 카르디차
1997–98이알리소스PAS 지아니나
1998–99에갈레오올림피아코스 볼로스
1999–00아크라티토스
2000–01파트라이코스
2001–02케르키라
2002–03포세이돈 네온 포론
2003–04카스토리아
2004–05트라시불로스베리아
2005–06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아그로티코스 아스테라스
2006–07아기오스 디미트리오스피에리코스
2007–08디아고라스카발라
2008–09일리우폴리독사 드라마
2009–10칼리테아베리아
2010–11파나차이키아나겐니시 에파노미
2011–12아폴론 스미르니스에트니코스 가조로스
2012–13포스티라스아폴론 칼라마리아


3. 1. 3. 2013년 ~ 2019년

시즌우승팀
2013-14아그로티코스 아스테라스, AEL, 라미아, 에노시 에르미오니다, 트라코네스, AEK 아테네
2014-15판세라이코스, 트리카라, 파넬레프시니아코스, 키사미코스
2015-16아리스, 아이기니아코스, 스파르타, OFI
2016-17아폴론 칼라마리아, 아폴론 라리사, 파나차이키, 에르고텔리스
2017-18아폴론 파랄림니오, 이라클리스, 틸리크라티스, 볼로스, 아스테라스 아말리아다스, 에트니코스 피레우스, 아이티토스 스파타, 이로도토스[1]
2018-19카발라, 베리아, 크로노스 아르기라데스, 올림피아코스 볼로스, 이에라페트라, 이알리소스, 에갈레오, 아스프로피르고스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감마 에스니키에서는 여러 팀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2017-18 시즌에는 이라클리스, 볼로스, 아이티토스 스파타, 이로도토스가 2부 리그인 풋볼 리그로 승격되었다.[1]

3. 2. 3부 아마추어 리그 챔피언 (2019년 ~ 2021년)

시즌우승팀
2019–20판세라이코스, 알모포스 아리데아, 피에리코스, AEP 카라지안니아, 칼리테아, 로도스, 아스테라스 블라치오티, 에피스코피[6]
2020–21오르페아스 크산티, 포세이돈 네아 미차니오나, 아나겐니시 카르디차, 디아고라스 스테파노비케리오, PAS 아케론 카날라키, 파니오니오스, AE 키피시아, 틸라 라피나, 자킨토스, 이로도토스


  • 굵은 글씨는 수페르리가 2로 승격한 챔피언을 나타낸다.

3. 3. 3부 리그 챔피언 (2021년 ~ 현재)

시즌우승팀
2021–22아그로티코스 아스테라스, 마케도니코스, 이라클리스 라리사, 파나차이키, 일리우폴리, 프로오데프티키, P.A.O. 루프[1]
2022–23아이올리코스, 기우차스, 캄파니아코스, 코자니, 틸리크라티스
2023–24카발라, 에트니코스 네오 케라미디, 파나르기아코스, 파니오니오스


  • [1] 굵게 표시된 팀은 수페르리가 2로 승격했다.

4. 2024-25 시즌 참가팀

Γ΄ Εθνικήel 2024-25 시즌에는 4개 조에 69개 클럽이 참가할 예정이다.

FCAFCAFCAFCAFCA


  • FCA = 축구 클럽 협회

참조

[1] 웹사이트 epae.org http://www.epae.org/[...] 2012-03-30
[2] 웹사이트 Συγχώνευση της Γ΄ και Δ΄ Εθνικής http://news.kathimer[...] kathimerini.gr 2013-08-06
[3] 웹사이트 ΕΠΟ, Σχέδιο αναδιάρθρωσης του ελληνικού ποδοσφαίρου http://www.epo.gr/pd[...] epo.gr 2013-08-06
[4] 웹사이트 Ο χάρτης της νέας Γ' Εθνικής http://www.sport24.g[...] sport24.gr 2013-08-06
[5] 웹사이트 Γ εθνική:το πλήρες αγωνιστικό πρόγραμμα περιόδου 2017-2018 http://www.epo.gr/Ne[...] epo.gr 2017-10-12
[6] 뉴스 Γ' Εθνική: Οι πρωταθλητές στους οκτώ ομίλους - Όλα ανοιχτά για άνοδο και υποβιβασμό https://www.fosonlin[...] www.fosonline.gr 2020-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